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비사업56

개포주공5단지 재건축정비사업 세부개발계획 개포주공5단지아파트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4길 17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아파트는 1983년에 준공되었으며, 2020년 12월에 조합설립인가를 받았고, 2023년 10월에 사업시행인가를 획득했습니다. 사업 시행 기간은 사업시행인가로부터 60개월입니다. 조합은 2024년 상반기에 시공사를 선정하고, 하반기에 조합원 분양신청과 관리처분인가를 마친 뒤, 2025년 초에 이주 및 철거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재건축을 통해 구역면적 5만6173㎡ 부지에 용적률 299.89%를 적용하여 지하 4층에서 지상 35층까지의 아파트 14개동 1279가구 (공공임대 145가구 포함)와 부대복리시설 등을 건립하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주거공간을 현대화하고, 주민들의 생활 편의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 2024. 6. 18.
개포주공6,7단지아파트 재건축정비사업 세부개발계획 개포주공6,7단지아파트 재건축정비사업은 서울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의 재건축 사업입니다. 이 단지는 기존에 15층 이하, 총 1960가구의 규모였으나, 재건축을 통해 2698가구의 대단지로 탈바꿈할 계획입니다. 이는 개포동 주공아파트 중 마지막으로 재건축을 추진중인 단지로, 1983년 준공된 아파트를 현대적인 아파트 단지로 재탄생시키는 프로젝트입니다. 이 사업의 개발 규모는 정비구역 면적 116,684㎡이며, 조합원 수는 1,958명입니다. 이 단지는 정비기반시설 13,075.6㎡를 기부 채납하고 대지 면적 103,608.5㎡ 부지에 건폐율 18%, 용적률 300% 이하를 적용하여, 지하 2층 ~지상 35층 22개 동, 임대 물량 386세대를 포함하여 총 2,994세대 규모의 대단지 아파트.. 2024. 6. 18.

성북1 공공재개발사업, 도시재생의 새로운 모델 성북1 공공재개발사업은 서울시 성북구 성북동 179-68번지 일대에 위치한 대규모 도시재생 프로젝트입니다. 이 사업은 약 33,000평 (109,639.7㎡)의 면적에 약 2,036세대를 건립할 계획이며, 건물의 층수는 최저 9층에서 최고 30층까지 다양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성북1구역은 2004년에 재개발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되었으나, 지형적 특성과 낮은 사업성 등의 이유로 사업 진행이 어려워 열악한 주거환경이 지속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2021년에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선정된 이후로 한국토지주택공사 (LH)의 참여로 구릉지인 지형 특성을 극복한 정비계획이 수립되었고, 이에 따라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했습니다. 향후 예상되는 사업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2년에는 시공사를 선정하고, 202.. 2024. 6. 9.
녹색 주택단지의 탄생, 신림동 675번지 재개발 프로젝트 서울의 관악구 신림동 675번지 일대는 재개발의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이곳은 신림7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의 중심지로, 주택재개발구역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 지역은 과거에는 저층 주택이 밀집되어 있던 곳이었으나, 노후 불량 건축물이 많아 주거환경 개선이 필요한 지역으로 지목되었습니다. 재개발 사업의 본격적인 시작은 2021년 12월, 신림7구역이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최종 후보지로 선정된 때부터였습니다. 이후 관악구는 서울시와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정비계획을 수립하였고, 2024년 5월 29일에는 서울시로부터 신림7 주택재개발구역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재개발 계획에 따르면, 이 지역은 지하 2층, 지상 최고 25층, 총 26개 동의 아파트로 재탄생할 예정입니다45. 건폐율 60% 이하, 용적률 215.. 2024. 6. 6.
서울의 새로운 변화, 수송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제1-7지구 서울, 한국의 수도는 그 자체로 변화와 혁신의 상징입니다. 그 중심에는 수송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제1-7지구가 있습니다. 이곳은 도시의 중심부를 재정비하고, 새로운 문화와 녹지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서울시민들에게 새로운 희망과 기회를 제공하는 곳입니다. 2024년 5월 29일,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는 이 지역의 정비계획 변경안을 '수정가결'하였습니다. 이 결정은 수송동 80 일대에 위치한 코리안리재보험 본사 사옥의 재개발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이 건물은 1985년 준공 이후 38년이 지나 건축물 안전과 도시 경관 저해 문제가 대두되었습니다.  재개발 계획에는 지하에 500석 규모의 클래식 전용 공연장인 '코리아 체임버홀'이 계획되어 있습니다. 이 공연장은 대규모 녹지와 연계하여 조성될 예정이며, 이는 수송.. 2024. 6. 6.

금천구 시흥동 230-4 모아주택 개발계획 서울 금천구 시흥동의 230-4 일대는 가로주택정비사업을 통해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이곳에 들어서는 모아주택은 도시 재생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으며, 주민들에게 현대적인 주거 공간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시흥동 230-4 모아주택은 금천구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으며², 호암산과 인접해 자연 친화적인 환경을 자랑합니다. 이곳은 지하 2층부터 지상 13층에 이르는 1개 동으로 구성되며, 총 63세대의 주거 공간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2027년까지의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임대주택 13세대를 포함하여 다양한 주거 수요를 충족시킬 것입니다¹.   모아주택은 대지 고저차를 활용하여 가로 활성화를 위한 연도형 근린생활시설을 배치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주민들의 보행환경을 개선하고, 보행단.. 2024. 6.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