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시정비형재개발5 영등포구 대선제분 도시정비형 재개발 1구역 5지구 정비사업 세부개발계획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대선제분 일대는 도시정비형 재개발의 중심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곳은 지난 2020년에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일반정비형, 소단위정비형, 보전정비형을 하나의 구역에 적용하는 혼합형 정비방식으로 결정되었습니다.재개발 구역은 문래동3가 8-2번지 일대로, 최고 24층 높이의 업무시설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용적률은 800.5% 이하, 건폐율은 60% 이하로 제한되며, 높이는 120.40m 이하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지하 1층부터 지상 4층까지는 근린생활시설을, 그리고 5층부터 24층까지는 업무시설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재개발 사업은 민간 주도로 진행되며, 대선제분 공장은 2019년 5월에 우수건축자산으로 등재되었기 때문에 보전정비지구로 결정되었습니다. 또한, 대상지 서측에는 대지면적의 25.. 2024. 6. 21. 양동구역 제8-1‧6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세부개발계획 서울 중구에 위치한 양동구역 제8-1‧6지구는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으로, 이곳의 정비계획은 지난 2024년 6월 19일에 서울시 제9차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수정가결되었습니다. 이 구역은 서울역과 남산 사이에 위치하며, 현재 메트로타워(1970년 사용승인), 서울로플라자(1972년 사용승인), 서울로타워 (1985년 사용승인) 등이 위치하고 있습니다.입지분석을 통해 이 구역의 주요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대상지는 한양도성으로부터 약 100m 범위 내에 위치하며, 이는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에 해당합니다. 또한, 이 구역은 서울역과 남산, 남대문시장 및 명동 등 주요 관광 장소를 연결할 수 있는 입지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발규모는 상당히 크며, 35층 규모의 고층빌딩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건축물 외부에는.. 2024. 6. 21. 서울의 새로운 변화, 수송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제1-7지구 서울, 한국의 수도는 그 자체로 변화와 혁신의 상징입니다. 그 중심에는 수송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제1-7지구가 있습니다. 이곳은 도시의 중심부를 재정비하고, 새로운 문화와 녹지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서울시민들에게 새로운 희망과 기회를 제공하는 곳입니다. 2024년 5월 29일,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는 이 지역의 정비계획 변경안을 '수정가결'하였습니다. 이 결정은 수송동 80 일대에 위치한 코리안리재보험 본사 사옥의 재개발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이 건물은 1985년 준공 이후 38년이 지나 건축물 안전과 도시 경관 저해 문제가 대두되었습니다. 재개발 계획에는 지하에 500석 규모의 클래식 전용 공연장인 '코리아 체임버홀'이 계획되어 있습니다. 이 공연장은 대규모 녹지와 연계하여 조성될 예정이며, 이는 수송.. 2024. 6. 6. 무교다동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제31지구 정비계획 결정 서울시는 2023년 7월 19일 제11차 도시계획위원회를 개최하여 중구 을지로1가 42번지 일대의 『무교다동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제31지구 정비계획 결정(변경)(안)』을 수정가결하였습니다. 이 대상지는 지하철 1호선 시청역과 2호선 을지로입구역 사이에 위치하며,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 및 「2030 서울시 도시·주거환경 정비기본계획」에 따른 개방형녹지, 용적률, 높이 계획 등을 반영하여 정비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이 정비계획(안)의 주요 내용은 개방형녹지 도입, 친환경 기준 적용, 기반시설 제공 등으로 용적률은 1,048.7% 이하, 높이는 126m 이하로 결정하고, 토지 기부채납을 통해 다동공원 및 도로를 조성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대상지 서측(을지로1길변) 인근의 공공공지와 공개공지와 연계된 .. 2023. 7. 21. 역세권 장기전세주택 운영기준 개정 서울시는 '역세권 장기전세주택' 사업 추진 과정에서 주민 갈등을 줄이고 초기 사업 실행력을 확보하기 위해 제도를 개선하였으며, 앞으로는 장기전세 주택 사업의 속도가 빨라져 활발한 공급이 기대됩니다. 서울시는 안정적이고 원활한 장기전세주택 공급을 위해 "역세권 장기전세주택 건립 운영기준"을 개정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6월에 한 차례 개정한 내용을 더욱 개선하여 사업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2007년 오세훈 시장이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도입한 '장기전세주택'은 주변 시세의 절반 수준의 안정된 전세금과 장기 거주(20년 이상), 고품질 주택 등의 장점으로 무주택 중산층 가구가 오랜 기간 거주하며 자산을 형성할 수 있어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역세권 장기전세주택' 중에서도 민간 시행자가 .. 2023. 7.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