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구단위계획구역2 지역주택조합 추진절차 및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요건 서울시는 지역주택조합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전,「주택법」이 정하고 있는 정보공개 등에 대한 점검을 선행한 뒤에 구역지정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역주택조합원이 사업 추진사항에 대해 잘 모르는 점을 악용해 피해를 입히는 사례를 막기 위한 조치입니다. 사업구역 면적 5천㎡ 이상 또는 1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아파트)을 건설하는 경우,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돼야 하는데 현재 서울 시내 지역주택조합을 추진 중인 118곳 중 114곳(97%)이 지정 대상입니다. 법적 의무사항을 이행하지 않으면 조합설립인가를 받기 전 단계인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이 불가능해지는 것입니다. 지역주택조합은 일반적으로 ‘조합원 모집신고→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조합설립인가→ 사업계획승인→ 착공→ 준공→ 조합 청산’의.. 2024. 4. 3. 까치산역 지구중심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결정 서울시가 2023년 10월 11일에 개최한 제15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까치산역 지구중심 지구단위계획의 변경을 "수정가결"했다는 소식이 도시 개발과 변화의 중요한 이정표로 밝혀졌다. 대상지는 까치산역 역세권과 강서로변을 포함하는 강서구 화곡동 897번지 일대로, 이곳은 주로 상업 지역이었으나 최근 주거화 추세가 높아지면서 지구중심의 기능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까치산역을 중심으로 지구단위계획구역을 확장하고, 상업지역의 주거화 방지와 중심기능 육성을 위해 강서로변은 업무기능으로 특화하고, 복개도로변은 음식문화거리로 조성하며, 이면부 상업지역은 지역주민이 필요로 하는 도서관, 체육시설 등을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상업지역의 저층부 가로를 활성화하고, 김포공항 고도제한으로 인해 제한되.. 2023. 10.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