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택재개발3 신길동 314-14일대 신속통합기획 세부개발계획 서울시 용산구 후암동 30-2(동후암 1구역)와 영등포구 신길동 314-14(신길 16-2구역) 일대가 신속통합기획으로 재개발되기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로써 신통기획 재개발 후보지는 총 65곳이 됐습니다. 이번에 선정된 구역은 올 하반기부터 정비계획 수립용역을 착수하고 주민의견을 수렴해 정비계획을 수립할 예정입니다. 이번에 선정된 영등포구 신길동 314-14일대는 노후도와 호수밀도가 높고 주거환경개선이 시급한 구역으로 주민 동의율이 높은 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서울 지하철 1호선 영등포역과 7호선 신풍역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신안산역도 예정돼 있어 향후 교통 여건은 더욱 좋아질 전망입니다. 주변에 도림초, 대영초, 대영중, 대영고 등이 있습니다. 재개발 후보지 투기방지대책에 따라 선정된 신통기획 재개발구.. 2024. 6. 28. 동소문제2구역 주택재개발 세부개발계획 동소문제2구역 주택재개발 정비계획은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한 프로젝트로, 이 지역을 최고 35층 아파트 615세대로 재개발하는 계획이다. 이 구역은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과 성북천 사이에 위치해 있어 입지 조건이 우수하다.이 프로젝트는 오랫동안 정체되어 있었는데, 이는 주민 동의가 저조했기 때문이다. 2002년에 재개발 구역으로 최초 결정된 이후, 2010년에 지구 단위 계획 특별 계획 구역에 포함되면서 일부 필지가 편입되었다. 그러나 조합원 간 권리가액 차이와 상가 배치에 대한 의견 충돌 등으로 재개발 반대자와 추가 지역 소유자의 반대로 갈등이 지속되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극적으로 동의율을 달성하여 프로젝트가 다시 추진되게 되었다. 이번에 상정된 정비 계획 변경안은 국민 주택 공급에 따른 용적률 상.. 2024. 6. 21. 녹색 주택단지의 탄생, 신림동 675번지 재개발 프로젝트 서울의 관악구 신림동 675번지 일대는 재개발의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이곳은 신림7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의 중심지로, 주택재개발구역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 지역은 과거에는 저층 주택이 밀집되어 있던 곳이었으나, 노후 불량 건축물이 많아 주거환경 개선이 필요한 지역으로 지목되었습니다. 재개발 사업의 본격적인 시작은 2021년 12월, 신림7구역이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최종 후보지로 선정된 때부터였습니다. 이후 관악구는 서울시와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정비계획을 수립하였고, 2024년 5월 29일에는 서울시로부터 신림7 주택재개발구역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재개발 계획에 따르면, 이 지역은 지하 2층, 지상 최고 25층, 총 26개 동의 아파트로 재탄생할 예정입니다45. 건폐율 60% 이하, 용적률 215.. 2024. 6. 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