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동소문제2구역 주택재개발 세부개발계획

by 인베스트 포 인베스터 2024. 6. 21.
반응형

동소문제2구역 주택재개발 정비계획은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한 프로젝트로, 이 지역을 최고 35층 아파트 615세대로 재개발하는 계획이다. 이 구역은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과 성북천 사이에 위치해 있어 입지 조건이 우수하다.

동소문제2구역 주택재개발 세부개발계획
동소문제2구역 주택재개발 세부개발계획


이 프로젝트는 오랫동안 정체되어 있었는데, 이는 주민 동의가 저조했기 때문이다. 2002년에 재개발 구역으로 최초 결정된 이후, 2010년에 지구 단위 계획 특별 계획 구역에 포함되면서 일부 필지가 편입되었다. 그러나 조합원 간 권리가액 차이와 상가 배치에 대한 의견 충돌 등으로 재개발 반대자와 추가 지역 소유자의 반대로 갈등이 지속되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극적으로 동의율을 달성하여 프로젝트가 다시 추진되게 되었다.

동소문제2구역 주택재개발 세부개발계획
동소문제2구역 주택재개발 세부개발계획


이번에 상정된 정비 계획 변경안은 국민 주택 공급에 따른 용적률 상향과 성북천변 연도형 상가 배치 계획으로 주민 동의율을 충족하였다. 이를 통해 아파트 4개 동 총 615세대(임대주택 162세대 포함) 규모로 건립할 계획이다. 정비 계획의 주요 사항은 기반 시설 제공 비율 등에 따라 용적률 430.7% 이하, 높이 105m 이하(35층 이하)로 건축 밀도를 결정하고, 대상지 주변의 교통·보행 환경을 위하여 도로 확폭 등을 정비할 예정이다.

반응형

동소문제2구역 주택재개발 세부개발계획
동소문제2구역 주택재개발 세부개발계획


또한, 대상지 남측 성북천과 연계하여 개방된 보행 동선 연결을 위해 남북 방향(동소문로~성북천)으로 공공 보행 통로를 계획하였으며, 보행로변에는 공개 공지와 연계한 녹지 공간을 조성하여 대상지 주변에 부족한 휴게 공간을 제공하고, 시민 보행 편의를 도모하였다. 건축 계획에 있어서는 낙산공원 성곽에서 대상지를 바라본 조망으로 주변과 자연스러운 스카이라인을 계획하였고, 대상지 인접 가로변으로는 연도형 근린생활시설을 집중 배치하여 가로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도시 재생의 한 사례로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역세권의 특색을 살린 주거 환경 정비와 양질의 주택 공급을 통해 서민 주거 안정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프로젝트는 도시의 활력을 증진시키고, 도시 경쟁력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