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유주택2

서울시 1인가구 공유주택 사업 세부개발계획 및 세부기준 서울시는 지난 2월에 1인 가구를 위한 공유주택 사업을 발표하였고, 이를 위해 세부 기준을 마련하였습니다. 이 기준에는 사업절차, 적용 대상, 공간별 설계기준, 용도지역 변경 및 공공기여 기준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입주자와 사업자 모두를 위한 맞춤형 지원책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입주자는 소득 및 자산 기준으로 지원 대상을 선별하여 최대 3천만원까지 보증융자를 받을 수 있으며, 사업 참여자는 심의를 통해 기준금리에 따라 건설자금 이자 차액을 최대 3%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시는 그동안 운영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여러 사업자들과 간담회를 개최하였고, 그 결과 동대문구 신설동역 일대, 중구 약수역 일대, 서대문구 신촌역(경의중앙선) 일대, 마포구 망원역 일대, 은평구 녹번역 일대, 동대문구 회.. 2024. 6. 26.
1인 가구를 위한 새로운 주거모델, 서울시 공유주택 사업이 뭐길래? 서울시에서는 공유주택이라는 새로운 주거 모델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 주거 형태는 주변 원룸 시세의 50%에서 70% 수준의 임대료로 최장 10년까지 거주할 수 있는 형태입니다. 공유주택은 개인이 주거 공간을 사용하면서 주방, 세탁실과 같은 공용 공간을 함께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1인 가구에게 합리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공유주택의 특징: 주변 원룸 시세의 50~70% 수준의 임대료로, 개인실과 주방․세탁실․게임존․공연장 등의 공유공간을 제공하는 주거모델 * 공유주택의 대상: 1인 가구 중 청년은 최장 6년, 중장년 이상은 최장 10년까지 거주 가능하며, 역세권이나 의료시설 인근 등 편리한 입지에 공급될 예정 * 공유주택의 지원: 용도지역 상향, 법적 상한용적률, 세제 혜택 등.. 2024. 2.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