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신길2구역, 마포4-10지구, 무교다동31지구, 명동1지구, 강북3구역 재개발사업 분석

by 인베스트 포 인베스터 2024. 3. 6.
반응형

신길제2구역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 190번 일대에 위치한 재개발 프로젝트입니다. 이 사업은 지하 4층, 지상 49층 규모의 13개 동으로 구성되며, 총 2,550세대의 공동주택(공공 652세대, 분양 1,898세대)과 부대복리시설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신길제2구역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
신길제2구역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

 


이 사업은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되어 주변시설과 단지와 조화를 이루는 다채로운 도시경관을 창출하고, 단지 내외부를 연결하는 열린 가로공간을 계획하였습니다1. 또한, 단지 내 보행연결가로(공공보행 통로) 내에 작은도서관, 시니어센터, 어린이집, 지역공동체 지원센터 등 다양한 공공개방시설을 계획하여 공공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유기적인 공유 커뮤니티를 구성하였습니다.


건축규모는 지하 4층, 지상 49층, 연면적 460,516.74㎡이며, 건폐율은 16.68%, 용적률은 299.88%입니다1. 용도는 공동주택(2,550세대), 부대복리시설(공공개방시설 포함)입니다1. 이 사업은 서울시의 제5차 건축위원회에서 통과되었습니다.

교육시설: 우신초, 도림초, 영신초, 대방초, 신길중, 영원중, 영등포여자고, 장훈고 등의 학교들이 인접해 있습니다1. 또한, 노량진 학원가도 가까워 교육환경이 우수합니다.


공원: 영등포공원, 대방공원, 여의도 생태공원, 보라매공원 등이 주변에 위치해 있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편의시설: 롯데백화점, 신세계백화점, 이마트, 씨엠충무병원 등이 있으며, 여의도 및 영등포역이 가까워 주변 편의시설, 상업시설 이용이 편리합니다.


이 외에도 신길2구역은 지하철 1호선의 영등포역과 신길역 인근에 위치해 있어 교통이 편리합니다.

신촌지역 마포4-10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신촌지역 마포4-10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은 서울 마포구 노고산동 109-62번지 일대에 위치한 재개발 프로젝트입니다. 이 사업은 지하 7층, 지상 29층 규모의 4개 동으로 구성되며, 총 295세대의 공동주택(공공 49세대, 분양 246세대)과 오피스텔 18실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신촌지역 마포4-10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신촌지역 마포4-10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이 사업은 간선변 및 이면부 건축한계선 후퇴공간을 활용한 휴게공간 계획을 통해 열린경관 및 보행친화공간을 조성하였습니다. 또한, 지상 1층 및 2층 가로변에 대지의 고저차를 고려한 근린생활시설을 계획하여 보행자 및 입주자가 편리하게 사용하고 거닐 수 있도록 저층부 가로활성화를 도모하였습니다. 수직재와 수평재를 강조한 격자형 요소와 도시적 색채를 입면에 도입하여 인근 경의선 숲길과 조화로운 도시경관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습니다.


건축규모는 지하 7층, 지상 29층, 연면적 47,685.69㎡이며, 건폐율은 59.85%, 용적률은 772.90%입니다. 용도는 공동주택(295세대), 업무시설(오피스텔 18실), 근린생활시설, 공공업무시설입니다. 이 사업은 서울시의 제5차 건축위원회에서 통과되었습니다.



무교다동구역 제31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무교다동구역 제31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은 서울 중구 을지로1가 42번지 일대에 위치한 재개발 프로젝트입니다. 이 사업은 지하 7층, 지상 27층 규모의 업무시설과 근린생활시설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이 사업은 사업 대지 서측에 공공이 휴게공간으로 사용 가능한 대규모 개방형 녹지와 공개공지를 계획하여 청계천 및 다동공원과 서울광장을 잇는 녹지축을 형성할 수 있도록 조성하였습니다12. 또한 지상 1층에는 저층부 개방공간 및 근린생활시설을 개방형 녹지와 연계하여 공공이 활용 가능한 열린 공간으로 조성하였고 건축물의 내·외부 공간 활성화를 유도하였습니다.


건축규모는 지하 7층, 지상 27층, 연면적은 3만88.73㎡이며, 건폐율은 49.99%, 용적률은 1,048.57%입니다. 용도는 업무시설, 근린생활시설입니다12. 이 사업은 서울시의 제5차 건축위원회에서 통과되었습니다.

 

무교다동구역 제31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무교다동구역 제31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명동구역 제1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명동구역 제1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은 서울 중구 을지로2가 185번지 일대에 위치한 재개발 프로젝트입니다. 이 사업은 지하 8층, 지상 24층 규모의 업무시설과 근린생활시설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이 사업은 지상 1층과 2층을 시민에게 개방하는 홀과 근린생활시설을 배치하였습니다1234. 대지의 레벨차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내·외부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였습니다. 또한, 저층부 개방 홀은 공개공지와 연계하여 도심의 생태공간을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습니다.

 

명동구역 제1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명동구역 제1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아울러, 최상부 개방공간은 시민들이 쉽게 인지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전망용 엘리베이터와 디지털 안내표지판 등을 계획하였습니다. 명동성당과 남산 등 서울도심 대표 명소를 조망할 수 있는 입지 특성을 활용해 최상층을 전망대로 조성하여 공공이 이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습니다.


건축규모는 지하 8층, 지상 24층, 연면적은 45,522.17㎡이며, 건폐율은 49.54%, 용적률은 1,031.7%입니다. 용도는 업무시설, 근린생활시설입니다. 이 사업은 서울시의 제5차 건축위원회에서 통과되었습니다.

 

 

신길음1재정비촉진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신길음1재정비촉진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은 서울 성북구 길음동에 위치한 재개발 프로젝트입니다. 이 사업은 지하 8층, 지상 46층 규모의 공동주택 405세대(공공 111세대, 분양 294세대)와 판매시설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이 사업은 전차 심의 의견을 반영하여 4Bay 타입을 3Bay 타입으로 변경하여 판상형 매스의 위압감을 완화하고 통경축을 추가적으로 확보하였습니다1234. 저층부 판매시설 포디움의 디자인 개선을 통해 주변 건물과의 조화를 유도하였습니다.

 

신길음1재정비촉진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신길음1재정비촉진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또한, 공개공지를 조성하여 녹지 확충 및 열린 경관을 창출하고, 대상지 경계부에 녹지와 연계한 보행로를 조성하여 공공의 접근성을 확보하고 쾌적한 보행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건축규모는 지하 8층, 지상 46층, 연면적은 81,086.33㎡이며, 건폐율은 59.31%, 용적률은 832.99%입니다. 용도는 공동주택 (405세대), 부대복리시설, 판매시설입니다1234. 이 사업은 서울시의 제5차 건축위원회에서 통과되었습니다.

 


강북3 재정비촉진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강북3 재정비촉진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은 서울 강북구 미아동 45-32번지 일대에 위치한 재개발 프로젝트입니다. 이 사업은 지하 5층, 지상 37층 규모의 공동주택 920세대(공공 233세대 포함)와 부대복리시설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강북3 재정비촉진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강북3 재정비촉진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이 사업은 전차 심의 의견을 반영하여 9개 동수를 7개 동수로 변경하면서 통경축 및 일조 수인한도를 개선했습니다. 또한 공공보행통로를 직선화하고 양 끝단에 공공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개공지를 조성하였습니다. 아울러 저층부 상가는 주변 상권과의 활성화를 위해 인접한 가로변에 설치하고 단지 내부에는 시민이 편리하게 이동 및 사용할 수 있도록 어린이집, 경로당, 다함께돌봄센터 등 주민편의시설을 반영토록 했습니다.


건축규모는 지하 5층, 지상 37층, 연면적은 17만8,478.95㎡이며, 건폐율은 35.18%, 용적률은 499.7%입니다. 용도는 공동주택 (920세대), 부대복리시설입니다. 이 사업은 서울시의 제5차 건축위원회에서 통과되었습니다.

반응형